검정고시 재시험 23년도 1회를 치고 다시 재시험을 치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3년도 1회를 치고 다시 재시험을 치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만약 이번에 재시험을 치게 되면 나중에 또 칠 때 첫번째 시험 점수를 못 가져가나요?? 2. 이번에 재시험을 치고 올해 세번째를 또 치게 되면 첫번째 점수와 두번째 점수 중 고를 수 있나요?3. 점수 고정이 가능한데 첫번째 따로 두번째 따로 될까요?(첫번째 시험에서 수학 점수 고정, 두번째 시험에서 사회 고정 따로 이렇게)4. 세번째 시험을 치게 된다면 점수 고정할 때 첫번재 시험 점수로 해도 되나요?5. 2회 시험을 치게 되면 온라인 비동의가 되는데 우편으로 따로 보내면 되나요? 2회 시험은 수시접수에서 불이익이 따를까요?내공 100
1. 이번에 재시험을 치게 되면, 첫 번째 시험 점수를 나중에 못 가져가나요?
→ 아니요!
이미 합격한 시험 성적은 유효기간 내에서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합격일로부터 4년간 성적이 유효하므로, 유효기간 안이라면 첫 번째 시험 점수를 가져올 수 있어요.
2. 재시험(2회)을 치고 올해 3회도 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중 고를 수 있나요?
→ 네!
여러 시험 중 원하는 점수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1회, 2회, 3회 중 성적이 제일 높은 걸로 쓰면 됩니다.
3. 점수 고정(영역별 점수 고정)이 가능한데, 첫 번째에서 수학, 두 번째에서 사회 이렇게 따로 고정 가능할까요?
→ 이건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아요.
만약 검정고시나 자격시험이라면 영역별 점수 고정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수능의 경우, 재수생이나 반수생이 1, 2학년 때 본 모의고사 또는 절대평가 과목 점수를 정시에서 '활용'한다는 개념으로 말하신 것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시험명을 알려주시면 이 질문에 대해 더 정확히 답변드릴게요!
4. 세 번째 시험을 치게 된다면, 점수 고정 시 첫 번째 시험 점수로 해도 되나요?
→ 네!
성적 유효기간 내라면 첫 번째 시험 점수를 고정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3회 시험을 쳤다고 해서 반드시 가장 최근 점수를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
5. 2회 시험을 치면 온라인 비동의가 되는데, 우편으로 따로 보내면 되나요? 수시접수에 불이익은 없나요?
→ 이 질문은 조금 구체적인 상황이 필요한데요,
보통 "온라인 비동의"라는 말은 **성적 활용 동의 여부(성적 통보)**를 의미하거나, 학교나 기관에 성적 자동 제출을 원치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온라인 비동의 후 직접 우편 제출: 대부분의 경우, 원서 접수 기간 내에 성적표 원본을 우편 또는 직접 제출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수시 불이익:
→ 성적 제출 기간을 지키기만 하면 불이익은 없습니다. 다만, 접수 마감일을 넘기면 인정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