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주한미군 철수 찬반대 트럼프 포함해서 공화당에서 주한미군 철수 찬성 보다 반대 여론이 더
트럼프 포함해서 공화당에서 주한미군 철수 찬성 보다 반대 여론이 더 높아요?그런데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및 감축 자꾸 말이 나오죠?
2025년 현재, 미국 내에서 주한미군 철수에 대한 여론은 분열된 상태입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는 약 4,500명의 주한미군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는 전체 병력의 약 16%에 해당합니다. 이 움직임은 미국 내 보수 성향 싱크탱크와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전략적 유연성과 비용 절감을 위한 필요성으로 지지받고 있습니다.
미국 내 찬성 의견
국방비 절감: 해외 주둔 비용을 줄이고 국내 우선순위에 집중하자는 주장.
전략적 재배치: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견제를 위한 병력 재편 필요성 강조.
한국의 자주국방 강화 요구: 한국이 더 많은 방위비를 부담하고 자체 방어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시각.
미국 내 반대 의견
동북아 안정성 우려: 철수가 북한의 도발을 자극하거나 중국의 영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
동맹 신뢰 저하: 한국과의 안보 협력 약화로 인해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
대만 유사시 대응력 저하: 한국 내 미군 기지가 대만 방어 작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수는 전략적 손실로 평가됨.
현재로선 공식적인 여론조사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철수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여론이 더욱 요동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이슈는 단순한 병력 조정이 아니라 미국의 대외 전략, 동맹 구조, 동북아 안보 지형 전체를 흔드는 중대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요.
참고로, 예전같으면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주적으로 한국의 위협하는 북한을 보고 주둔했습니다만 요즘 중국의
움직임을 보면 힘을 바탕으로 남중국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만을 전쟁으로라도 점령하겠다는 의지를 자꾸 내보이기 때문인데요
기본적으로
① 트럼프는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돈으로 따져서 장사를 하려고 하고, 돈의 논리로 우방을 대하는 트럼푸는
돈 안내면 안지켜줘 (철수)
② 국제 정세가 돌아가는 것을 보면 현재 한국이나 일본에서 미군을 철수하는 것은 중국의 영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걸 아는 사람들은 미군철수에 대해 반대.
이러면 정책이 왔다갔다 할 수 밖에 없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