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세계사 이제시작 중등 문제집 현역고3이고요 이제 세계사 시작하는데 중등 문제집 써도 될까요? 체크체크 쓸꺼구요중2때
현역고3이고요 이제 세계사 시작하는데 중등 문제집 써도 될까요? 체크체크 쓸꺼구요중2때 세계사 해봤을때 저 세계사 책 썼어서 익숙하기도 하고(당시역사학원다녔음)막 배경이나 순서같은거랑 지엽적인거 자세하게 잘설명하길래요 지금 인강개념강의보는중아님 따른 자세한 문제집 있음 추천좀…무튼 고3인데 중2책쓰는거 어때염? 자세하게 보는 용도로요중요한거 아니면 다 넘어갈거긴해요매가 이투스 패스 있는데 필요하다면 대성구독할 의사도 있어요근데인강보다는 스스로 하는게 더 빨리 돼서ㅎㅎ
고3이시고 지금부터 세계사를 시작하신다니, 매우 큰 결심과 학습 열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현재 개념 인강을 시청 중이시며 중학교 문제집 사용 여부에 대해 고민하시는군요.
'체크체크'와 같이 익숙하고 배경이나 순서, 지엽적인 내용까지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중학교 세계사 문제집을 수능 대비에 활용하는 것은 몇 가지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기초 다지기: 세계사는 방대한 양과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익숙하고 상세한 중학교 문제집으로 흐름과 기초 개념을 탄탄하게 다지는 데는 분명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말씀하신 대로 배경이나 순서, 지엽적인 부분까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면, 이전에 다져놓았던 익숙함을 바탕으로 개념을 빠르게 복습하고 이해하는 데 유리할 것입니다.
* 학습 효율성: 스스로 공부하는 것을 선호하시고, 해당 교재에 대한 익숙함이 있다면 학습 초반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수능의 깊이와 범위: 수능 세계사는 중학교 교육과정보다 더 심화된 내용과 다양한 시각, 그리고 사건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요구합니다. 중학교 문제집만으로는 수능에서 요구하는 사고력이나 통합적인 이해, 자료 해석 능력을 충분히 기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중학교 교재는 수능 출제 경향과는 다른 관점에서 중요도를 다룰 수 있습니다.
* 킬러 문항 대비 부족: 수능에서 고난도 문제나 변별력을 가르는 지엽적인 문항들은 고등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된 심화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학교 문제집이 '자세하다'고 느껴지더라도, 수능에서 요구하는 특정 개념의 깊이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세계사 문제집은 수능 세계사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용도로는 충분히 유용합니다. 특히 이미 익숙하신 책이라면 빠른 시간 안에 기초 개념을 정리하고 자신감을 얻는 데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후에는 반드시 수능 특화된 고등학교 세계사 개념서나 문제집으로 심화 학습을 병행하시는 것을 강력히 권해드립니다. 중학교 문제집으로 흐름을 잡으신 후, 고등학교 수준의 교재를 통해 부족한 개념을 채우고 수능형 문제 풀이를 연습하시면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 문제집 중에는 개념 설명을 자세하고 친절하게 해주는 기본서들이 많이 있으니, 그러한 교재들을 탐색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중요한 내용이 아니면 넘어가시려는 계획은 옳습니다. 중학교 교재로 전체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후 고등학교 교재로 수능에 필요한 심화 내용을 채우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