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em 발효액 실험 세특 고3 학생 세특 작성중인데 교과 추가 탐구로 미생물을 활용한 수질/
고3 학생 세특 작성중인데 교과 추가 탐구로 미생물을 활용한 수질/ 중금속 오염 정화에 대해 탐구 중이라 실험을 하려고 하다가 em 발효액 활용한 실험을 구상하게 되어서요! 그런데 2024년 jtbc 기사도 그렇고.. em 발효액이 효과가 없고 유사과학이라는 의견도 들어서요. 또 최근 세특 주제 중에 em 관련 실험이 많이 안 보여서요. em 발효액으로 수질 정화 실험을 진행했을 때 대학 교수님들이 보기에 과학적 전문성이 떨어지는 효과 없는 실험이라고 생각될까 걱정되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그렇다면 다른 종류의 어떤 실험이 있을까요? 1-2일 내에 진행할 수 있는 실험이면 좋겠어요 ㅜㅜㅜㅜ
EM 발효액은 제조사 주장과 달리 재현성 및 일관된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아 전문가 관점에서 유사과학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고교 과목탐구 세특 주제로 사용할 경우 심화된 과학적 평가를 받기 어려울 수 있으며, 1–2일 이내 실험이라는 제한을 고려할 때 더 명확한 이론적 근거와 측정 지표를 갖춘 대체 실험을 수행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본문에서는 EM 비판 근거를 제시하고, 단기간 내 수행 가능하며 수질·중금속 오염 정화와 연계된 세 가지 실험 아이디어를 제안합니다.
1. EM 발효액 과학적 검토
1.1 재현성 및 효과 부족
‘Effective Microorganisms(EM)’는 다양한 미생물 혼합물로 구성되지만, 토양 개량·수질 정화 분야에서 재현성과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EM 자체의 미생물 효과보다는 운반체 역할을 하는 영양물질의 영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4년간의 유기농 시험에서 작물 수량과 토양 미생물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했다는 결론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1.2 최신 연구 동향
일부 연구에서는 EM 처리 후 특정 병원성 세균 농도가 46–58% 감소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현장 조건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이 부족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2. 1–2일 내 수행 가능한 대체 실험
2.1 효모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
개요 및 이론
비활성화된 제과용 효모를 흡착제로 활용하여 수용액 내 납, 구리, 아연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흡착 속도가 빠르며, pH 5–6 환경에서 15분 이내에 상당량의 금속이 흡착됩니다.
실험 절차(예시)
1. 중금속 용액(예: Pb(NO₃)₂ 50 mg/L) 준비
2. 0.5% 건조 효모 분말 첨가 후 pH 5.5로 조정
3. 15–30분간 교반
4. 여과 또는 원심분리 후 상등액 채취
5. 금속 농도 측정(시약 키트 또는 흡광도 측정)
예상 결과
* 15분 이내 흡착 평형 도달, 40–60% 금속 제거
* Freundlich 또는 Langmuir 등온선 검증 가능
2.2 Chlorella를 활용한 질소성분 제거 실험
개요 및 이론
단세포 녹조류 Chlorella vulgaris를 배양하여 질산염 및 암모늄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수질 개선 능력을 평가합니다. 48시간 이내에 30–50% 정도의 질산염 제거가 관찰되며, 배지가 간단하여 학교 실험실에서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험 절차(예시)
1. Chlorella 현탁액(OD₆₈₀ 약 0.2) 50 mL 분주
2. 초기 질산·암모늄 농도 측정(시약 키트 활용)
3. 48시간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시료 채취
4. 잔류 질소 성분 측정 및 제거율 계산
예상 결과
* 48시간 내 30–50% 질산염 제거
* 성장 속도와 제거율 간 상관성 분석 가능
2.3 염색약 탈색 실험
개요 및 이론
Bacillus 속 세균을 알지네이트·PVA·벤토나이트 매트릭스에 고정화하여 메틸렌 블루를 분해·흡착한 뒤 탈색 효과를 평가합니다. 24시간 내 80–95% 탈색이 가능하며,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 절차(예시)
1. B. subtilis 현탁 세포를 SA-PVA-Bentonite 매트릭스에 고정화
2. 메틸렌 블루 용액(20 mg/L)에 고정화 구 3–5개 투입
3. 24시간 후 용액 색도 및 흡광도(λ=664 nm) 측정
4. 탈색율 계산
예상 결과
* 24시간 후 약 94% 탈색
* 미생물 활동에 따른 탈색 속도 비교 가능
3. 결론 및 제언
EM 발효액 실험은 과학적 타당성 부족으로 교수님들께서 비판적 시각을 가질 수 있으며, 짧은 실험 기간 내 뚜렷한 결과 도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신 효모 기반 중금속 흡착, Chlorella를 이용한 질소 제거, Bacillus를 활용한 염색약 탈색 실험은 이론적 근거가 확립되어 있고 1–2일 이내에도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고교 세특 탐구 주제로 적합합니다. 질문자님 연구 목적과 관심 분야에 맞추어 이 세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부 실험 설계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