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중 공부 그냥 너무 지겨워요중학교 반배치고사 시험 준비를 하는데학원선생님은 1주일에 적어도 문제집
예비중 공부 그냥 너무 지겨워요중학교 반배치고사 시험 준비를 하는데학원선생님은 1주일에 적어도 문제집
그냥 너무 지겨워요중학교 반배치고사 시험 준비를 하는데학원선생님은 1주일에 적어도 문제집 한두권은끝내야한다하시고엄마도 하루종일 공부이야기만 하십니다원래는 공부에 흥미가 있었어요학원 갔다와서 숙제에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하루종일 그 문제만 파고들고아무튼 그랬는데요새는 그냥 공부하기 너무 싫고공부때문에 스트레스 받는다는 사람들 이해를못했는데 요샌 이것때문에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죽으면 편하려나 이런 생각도 자주 들고제가 공부를 잘하게 된게 후회됩니다제 동생은 공부를 잘 하는 편이 아니라부모님이 장래희망도 원하는 거 하라고 놔두시는데저는 무조건 공부관련된거 아니면 싫어하시는눈치입니다지금도 공부해야하는데 그냥 책이 다 없어져버렸으면좋겠어요매일매일 너무 지겨워요거실에서 동생은 지금 티비틀고 뒹굴거리면서키득거리고 있는데 진짜 짜증나서 가서 한대만이라도 팍 치고 오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정말 많이 힘드셨죠? 이렇게 긴 글로 마음을 털어놔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상황이 너무 버겁고 지친 마음이 느껴져서 읽으면서 저도 같이 무거워졌어요.
아침에 일어나면서도 그런 생각을 한다는 건, 스트레스가 단순히 큰 정도를 넘어 정말 힘든 상태라는 뜻이니까요.
우선, 괜찮아요. 지금 그 마음 자체가 당연한 감정이고, 누구나 한 번쯤 느낄 수 있는 상태예요.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부모님이나 주변의 기대가 크든 작든, 사람은 누구나 스트레스가 한계치에 다다르면 그렇게 느껴질 수밖에 없거든요.
현재 질문자님은 이렇게 느끼고 계신 것 같아요:
여기서 중요한 건 질문자님 잘못이 아니라는 거예요.
지금 이 상황이 힘든 건, 너무 많은 압박이 쌓였기 때문이지, 질문자님이 문제거나 의지가 부족해서 그런 게 아니에요.
사람이 무언가를 좋아하거나 잘할 때는 두 가지가 맞아야 해요:
하지만 지금은 스스로 원하는 마음은 압박 때문에 눌려버렸고,
환경도 하루 종일 공부 이야기를 듣고, 동생과 비교되는 상황이라 쉬는 여유조차 없어서 더 힘들어진 것 같아요.
(1) 부모님과 솔직히 이야기하기 (꼭 해야 해요)
지금 질문자님의 가장 큰 스트레스는 부모님과 주변의 기대에서 비롯된 것 같아요.
하루 정도 시간을 내서 솔직하게 부모님께 말씀드려 보세요.
부모님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질문자님의 진심을 이해하고 도와주시려 할 거예요.
지금 문제집 한두 권씩 끝내라는 건 과도한 목표예요.
하루에 딱 2~3시간 공부, 나머지는 쉬기로 목표를 축소하세요.
공부는 효율이 중요해요! 모든 문제집을 끝내는 것보다, 하루에 딱 2개나 3개의 문제만 확실히 이해해도 큰 차이가 생겨요.
(3)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나만의 시간 만들기
매일 딱 30분~1시간은 공부를 완전히 떠나서 하고 싶은 걸 해보세요.
예: 좋아하는 음악 듣기, 그림 그리기, 산책, 운동 등
이 시간이 없으면 지치고 결국 번아웃이 오게 돼요. 쉬어야 공부가 됩니다.
동생이 편해 보이고 자유로워 보이니까 화가 나는 거, 너무 당연해요.
하지만 동생과 비교할 필요는 없어요. 동생도 다른 문제들로 고민이 있을 수 있고, 질문자님은 질문자님만의 속도로 살아가는 게 중요해요.
동생에게 화가 날 땐 잠깐 방을 나가서 물 한 잔 마시고, 질문자님만의 목표를 떠올려보세요.
지금 너무 힘든 건, 공부를 잘해서 생긴 문제가 아니에요.
부담과 압박이 계속 쌓여 쉬는 법을 잊어버린 거예요.
스스로를 탓하지 말고, 충분히 쉬면서 천천히 방향을 찾아가길 응원합니다.
질문자님 같은 친구들이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제가 응원할게요!

지모정 : 네이버 블로그